
교육목표 문헌정보학은 정보자원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이론과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현대 정보사회에 있어서 지식과 정보의 생산, 가공,축적, 검색, 제공 그리고 보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문헌정보학과에서는 지식ㆍ정보의 관리와 유통과 관련한 역사적, 정책적, 사회적, 문화적, 기술적 동향과 특성에 대한 접근을 통해서, 정보자원의 시공간적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이론과 실천방법을 연구합니다. 우리학과의 교과과정은 정보사회에서 정보자원의 관리자요,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과목들로 편성되어 있는데, 정보자원의 역사 및 고전자료 관리, 정보자원의 개발과 관리, 정보자원의 가공과 조직, 정보시스템과 디지털도서관 운영, 정보요구/형대와 정보서비스 제공, 그리고 지식정보기관의 관리와 경영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수님소개
fnctId=pnuProfl,fnctNo=345
졸업생 진출분야
그 동안 문헌정보학과는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정보전문가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인제들을 배출하였으며, 이들은 현재 다양한 정보서비스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부 졸업과 동시에 2급정사서 자격증을 취득하는 졸업생의 대부분은 전국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전문도서관 등 각급 정보서비스기관에 진출합니다. 또한 우리 학과 졸업생들은 신문 ㆍ방송국 등의 언론사 자료실, 은행이나 기업체 자료실, 각종 연구소의 정보자료실 등의 전문정보센터에도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보처리업체나 정보컨설팅회사 그리고 정보시스템 제작 및 관리 회사에 진출하는 졸업생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교직과정을 이수하면 초 ㆍ중고등학교 도서관이 사서교사로 진출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졸업생 가운데 학문에 뜻이 있는 사람들은 본교 대학원이나 국내외 유명대학원의 석 ㆍ박사과정에 진학하여 전공분야의 연구를 심화하기도 합니다.